본문 바로가기

살면서-받은 메일과 신문 스크랩

내가 먹는 닭고기에 항생제 얼마나 들었나

좁은 우리안에서 키우는 닭과 돼지와 소,

특히 닭과 돼지는 질병으로부터 보호,예방차원에서

항생제를 무차별 투여하지않나 사료됩니다.

판매코져 하는 닭의 체내에 축적된 항생제를 측정하는 방법이 나왔다니 반가운 일입니다

옮긴이 씀

내가 먹는 닭고기에 항생제 얼마나 들었나

권예슬 동아사이언스 기자

입력 2016-05-27 03:00:00 수정 2016-05-27 03:00:00

 
표준硏, 항생제 잔류량 기준 개발 

내 식탁에 올라온 닭고기가 항생제 범벅인 것은 아닐까. 최근 형석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사진)은 이런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닭 내부의 항생제 잔류량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2014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15.4kg으로 돼지고기 다음으로 높다. 닭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사료에 항생제를 너무 많이 섞어서 먹일 경우 항생제 내성균이 생길 수 있다. 또 이 내성균과 잔류 항생제가 닭고기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체내에 쌓여 문제를 일으킬 여지가 있다.  

 
국내 시험기관에서는 자체적으로 육류 내 항생제 잔류량을 측정하고 있지만 검사법이 제각각이어서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연구진은 이런 검사법이 올바른지 판단할 수 있도록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항생제 두 종류를 사료에 섞어 먹이면서 사육한 닭을 가공한 뒤 잔류 항생제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두 항생제의 함량이 각각 4.5%(엔로플록사신)와 3.49%(시프로플록사신)의 오차 내에서 측정될 경우 검사법이 신뢰할 만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형 연구원은 “식탁에 오르는 육류 가운데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수입 육류 검역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돼지고기나 소고기의 항생제 분석용 인증표준물질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권예슬 동아사이언스 기자 yskwo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