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원짜리 열악한 배식 때문에… 미국 교도소서 '라면' 최고
입력 : 2016.08.23 09:11
미국 교도소의 재소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담배가 아닌 라면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2일(현지시각) 미국 애리조나대학 사회학과 박사후보생인 마이클 깁슨 라이트가 미국 내 한 교도소에서 재소자 60명을 대상으로 노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죄수들은 라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재소자들은 교도소 매점에서 59센트(약 663원)를 주면 라면 1개를 살 수 있지만 교도소 내에서 이뤄지는 '물물거래' 때문에 라면값이 폭등한다.
깁슨 라이트의 보고서에는 물물거래 시 라면 1개는 약 2달러(2250원)인 담배 5개비, 라면 2개는 약 10.81달러(1만2140원)인 운동복 상의와 같은 가치를 지닌다고 나타났다.
깁슨 라이트는 이러한 현상을 열악한 배식 사정과 연관 있는 것으로 봤다.
교도소측은 예산이 감축되자 2000년대 초반 재소자 식사 제공업체를 바꿨고 그 뒤 교도소 내 물물거래에서 라면값이 치솟았다.
배식 회사가 바뀐 뒤 주중 하루 세 번씩 나오던 따뜻한 음식은 하루 두 번으로 줄고, 대신 차가운 음식이 점심때 제공됐다. 주말에는 끼니도 하루 세끼에서 두 끼로 줄었다.
또 미국 온라인 매체 쿼츠는 몇몇 교도소의 경우 재소자들의 식사 단가가 15센트(169원)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심지어 한 재소자는 5살짜리 아동에게도 불충분한 식단이 제공돼 아이들의 체중이 크게 줄자 소송을 걸기도 했다.
이에 따라 깁슨 라이트는 "노동과 운동으로 소일하는 재소자들이 교도소에서 제 공하는 식사로는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하기 쉬운 고칼로리 식품인 라면을 좋아한다"고 분석했다.
재소자들은 라면 때문에 교도소에서 싸움도 벌어진다고 증언했다.
한 재소자는 깁슨 라이트에게 "감옥에선 라면이 곧 돈"이라면서 "바깥에 있는 가족에게 라면을 많이 보내달라고 요청하고자 편지를 보내는 데에도 많은 돈을 쓸 것"이라고 전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2일(현지시각) 미국 애리조나대학 사회학과 박사후보생인 마이클 깁슨 라이트가 미국 내 한 교도소에서 재소자 60명을 대상으로 노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죄수들은 라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재소자들은 교도소 매점에서 59센트(약 663원)를 주면 라면 1개를 살 수 있지만 교도소 내에서 이뤄지는 '물물거래' 때문에 라면값이 폭등한다.
깁슨 라이트의 보고서에는 물물거래 시 라면 1개는 약 2달러(2250원)인 담배 5개비, 라면 2개는 약 10.81달러(1만2140원)인 운동복 상의와 같은 가치를 지닌다고 나타났다.
깁슨 라이트는 이러한 현상을 열악한 배식 사정과 연관 있는 것으로 봤다.
교도소측은 예산이 감축되자 2000년대 초반 재소자 식사 제공업체를 바꿨고 그 뒤 교도소 내 물물거래에서 라면값이 치솟았다.
배식 회사가 바뀐 뒤 주중 하루 세 번씩 나오던 따뜻한 음식은 하루 두 번으로 줄고, 대신 차가운 음식이 점심때 제공됐다. 주말에는 끼니도 하루 세끼에서 두 끼로 줄었다.
또 미국 온라인 매체 쿼츠는 몇몇 교도소의 경우 재소자들의 식사 단가가 15센트(169원)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심지어 한 재소자는 5살짜리 아동에게도 불충분한 식단이 제공돼 아이들의 체중이 크게 줄자 소송을 걸기도 했다.
이에 따라 깁슨 라이트는 "노동과 운동으로 소일하는 재소자들이 교도소에서 제
재소자들은 라면 때문에 교도소에서 싸움도 벌어진다고 증언했다.
한 재소자는 깁슨 라이트에게 "감옥에선 라면이 곧 돈"이라면서 "바깥에 있는 가족에게 라면을 많이 보내달라고 요청하고자 편지를 보내는 데에도 많은 돈을 쓸 것"이라고 전했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살면서-받은 메일과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동욱,조응천,이석수...위험한 화살[중앙시평] (0) | 2016.08.24 |
---|---|
두 노조 정반대 선택...車업체 명암 갈랐다 (0) | 2016.08.24 |
핵심산업 속빈 1등...설비-소재는 외국산 (0) | 2016.08.23 |
혁신과 도전이 만들어낸 삼성의 스마트폰 돌풍 (0) | 2016.08.20 |
소아암 환자 위해 긴 생머리 싹둑...모발 기부 9년새 150배 (0) | 2016.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