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report] 9조 주고 10년 번 삼성, 단숨에 커넥티드카 강자로 떴다
- 기자
- 임미진 기자
고성장 전장 시장, 거래 실적 중요
가치보다 28% 더 주며 통큰 베팅
하만이 21년 키운 사업 품에 넣어
거래 성사 과정만 봐도 삼성전자가 급성장하는 스마트카 전장(전자장비) 시장을 얼마나 빨리 선점하고 싶어하는지가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게 자동차·정보기술(IT) 업계의 분석이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는 익명을 전제로 하만의 분위기를 이렇게 전했다. “하만 측조차 삼성전자가 전체 사업을 인수할 거란 기대를 하지 않았다. 일부 사업만 사들일 걸로 내다본 모양이다. 삼성전자는 조건을 걸지 않고 지분 전체를 사겠다고 나선데다, 인수가는 하만 측의 기대보다 2조5000억~2조7000억원가량이 많았다. 하만의 이사회는 고민의 여지 없이 매각을 결정했다고 한다.”
웃돈을 얹은 속전속결 거래, 삼성전자는 무엇이 급했던 걸까. 전문가들은 급변하는 전장 시장의 판도와 유난히 높은 시장의 장벽이 삼성전자의 통큰 베팅을 부추겼다고 풀이한다. 전장 시장은 기술만 있다고 진입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니다. 자동차 업계는 보수적이기로 유명하다. 기술력이 있어도 안정된 거래 실적(track record)이 쌓이지 않으면 쉽사리 납품을 받지 않는다.
김정하 국민대 자동차융합대학장은 “자동차 전자장비는 스마트폰이나 가전보다 훨씬 더 극한의 환경에 노출된다. 자갈밭을 시속 100㎞가 넘는 속도로 움직이고 사막부터 알래스카까지 다 돌아다닌다. 자칫 문제가 생기면 고객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업체가 제대로 자리를 잡는 데는 최소 10년이 걸리는 편”이라고 말했다.
하만이 21년 간 일궈온 전장 사업을 인수함으로써 삼성전자는 최소 10년을 절약했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김동원 현대증권 기업분석부장은 “특히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기술이 자동차와 결합하며 스마트카 전장 산업이 급성장을 앞두고 있는 시기이기에 삼성전자는 더욱 속도를 내고 싶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김동원 부장은 “IoT 시장과 마찬가지로 스마트카 전장 사업은 대부분의 영역이 걸음마 단계”라며 “초기에 시장에 진입해 표준화에 진입한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독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자가 본격 뛰어들며 스마트카 전장 시장의 판도는 크게 흔들릴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이 13%에 달하는 이 시장은 IT 업체 뿐 아니라 완성차 업체도 군침을 흘리는 땅이다. 현대자동차와 한국GM·쌍용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들도 내년부터 ‘반자율주행 기능’을 대폭 강화한 차량을 대거 내놓는 등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IT 업체와 완성차 업체의 합종연횡도 더 활발해질 걸로 보인다. 최근 전장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LG전자의 경우 한국GM의 전기차와 현대차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납품하고 있는 걸로 알려져있다.
삼성전자 측은 “아우디·벤츠 등 기존 하만의 주요 고객 외에도 적극적으로 완성차 업체와 부품 공급을 위해 협력할 계획”이라며 “부품 사업에 집중하기로 한만큼 완성차 시장에 뛰어들 계획은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임미진 기자 mijin@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J report] 9조 주고 10년 번 삼성, 단숨에 커넥티드카 강자로 떴다
'살면서-받은 메일과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중한 자료 =한국전쟁외 (0) | 2016.11.19 |
---|---|
한나절 숙성시킨 회,활어보다 감칠맛 10배 입에 착 착 감기네요 (0) | 2016.11.18 |
,국민타자 ,이승엽,현역 선수 최초로 일구대상 (0) | 2016.11.16 |
68년 만에 즈구와 가장 가깝다,수퍼문 (0) | 2016.11.16 |
세월이 바른 이유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