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버드 “한국, 사드 배치 철회한다면 큰
- 기자
- 채병건 기자
새로 등장하는 트럼프정부 상대
한·미동맹 약화의 상징이 될 것
- 질의 :정치적 공백으로 인해 사드 배치가 영향 받을 가능성은.
- 응답 :“한국 정부는 계획대로 진행한다고 분명히 밝혔다. 박 대통령이 탄핵되면 대선을 통해 새 정부가 들어서는데 나로선 새 정부가 사드 배치의 중요성을 이해하기를 희망한다. 한국 안보에도 중요할 뿐 아니라 중국이 한미동맹 운영을 놓고 개입하는 것을 허용해선 안 된다. 배치 결정이 변경되면 동맹에 해롭다. (중국이 동맹에 개입하는) 불행한 선례를 남기게 된다.”
- 질의 :중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의도는.
- 응답 :“중국은 군사적 측면에서 부분적으로는 자국 안보에 어느 정도 위협이라고 여기는 것 같다. 하지만 사드 배치 반대는 전적으로 정치적이다. 중국은 사드 배치가 한미동맹을 강화한다고 간주한다. 사드 배치는 방어를 위해서나 상징적인 측면에서나 모두 그렇다. 중국은 이를 원치 않는다.”
- 질의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때와 비교하면.
- 응답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은 헌법재판소에서 기각하며 대통령직에 복귀할 수 있었다. 그때도 내가 대사로 있었다. 그러나 이번엔 상황이 상당히 다르다. 내 생각엔 상황이 훨씬 더 크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정치적이었다. 보수 정당이 노 전 대통령을 내리려 했지만 여론은 노 전 대통령 쪽에 가 있었다. 이번엔 여론은 명백히 박 대통령에 반대하고 있다. 그래서 당시와 (탄핵) 동력이 다르다.”
- 질의 :한국 국민들이 노 전 대통령 때와 달리 더 분노하는 이유는.
- 응답 :“한국인들은 ‘그림자 속의 여인(shadowy woman)’이 대통령에게 큰 영향을 미친 데 속이 상한 것 같다. 마담 최(최순실)는 공식 직책이 없는데도 거의 항상 청와대에 있으면서 대통령이 결정을 내리는 것을 도왔다는데 한국 국민들이 분노했다고 본다. 또 그녀의 딸이 대학에 입학할 때 특혜를 받은 데 분노한 것 같다. 정서적인 측면이 있다.”
- 질의 :한국은 현재 대통령이 업무를 볼 수 없는 부재 상태인데 한미관계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
- 응답 :“타이밍이 좋지 않다. 미국은 새 대통령이 취임하는데 한국은 불확실성이 계속된다. 그래서 새로운 협력 관계를 시작하기엔 좀 어색하다. 또 북한이 우려스럽다. 한국의 정치적 공백기는 북한 대응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고 북한은 이를 악용하려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는 (미국이 개입해선 안 되는) 한국 국내의 문제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가결됐을 때 나는 대사로서 미국에 한국 정부는 계속 가동 중이라고 알렸다. 고건 총리가 정부를 이끌지 않았나. 한미관계는 강건한 제도적 기반 위에 서 있다. 이번 사태 역시 일시적인 문제에 불과하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출처: 중앙일보] 허버드 “한국, 사드 배치 철회한다면 큰 실수”
'살면서-받은 메일과 신문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재롱잔치 (0) | 2016.12.29 |
---|---|
아슬아슬한 문재인의 문제 발언[이철호의 시시각각] (0) | 2016.12.19 |
'여러분' 윤복희, "최근 날 괴롭히던 정치인이 콘서트 공연 못 하게 했다" (0) | 2016.12.17 |
문재인 "탄핵 기각되면 혁명밖에 없어" (0) | 2016.12.17 |
바람 피우는 이유 2위 男 '쾌락 추구' 女 '호기심'...1위는 (0) | 2016.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