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면서-받은 메일과 신문 스크랩

"3600만원 넘는 대졸 초임 낮춰라"-동아일보

대졸 초임만 낮출게 아니라,국영기업체 사장과 각 금융기관 장,

대기업 임원,국회의원 세비와 보좌관수 감축 등 모든 부분에서 다른 나라와 형평이 맞지 않는

급여기준을 낮추어서 이로인해 절약된 금액으로 신규채용을 늘릴 수 있다하겠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물품의 생산단가를 낮춤으로 우리국민은 싼 물건을 살 수 있고, 

수출단가도 내려가 외국기업과 수출경쟁에서 이겨 나갈 수 있을것입니다.

이웃 경쟁국가인 일본보다 월급을 많이 준다는건 큰 문제라 생각됩니다.

 

 

 

뉴스 > 종합

“3600만원 넘는 대졸 초임 낮춰라”

기사입력 2016-02-03 03:00:00 기사수정 2016-02-03 03:00:00

경총, 일부 대기업에 삭감 권고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일 일부 대기업에 대해 정규직 대졸 초임 임금을 삭감하라고 권고했다. 1975년부터 경총이 매년 경영계에 임금조정안을 권고해온 이후 ‘대졸 초임 삭감’을 권고한 것은 처음이다. 경총이 대졸 초임 삭감 카드를 꺼내든 것은 기업들이 올해 저성장과 정년 연장을 동시에 맞닥뜨린 가운데 지나치게 높은 대기업 정규직의 초임을 깎아서라도 신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 한국 대기업 정규직 초임 일본보다 39% 높아

경총은 ‘2016년 경영계 임금조정 권고’를 통해 대졸 초임이 3600만 원 이상(변동 상여금을 제외한 고정급 기준)인 기업에 대해 “과도한 초임을 조정해 절약한 재원을 신규 채용에 써 달라”고 권고했다. 경총이 지난해 대기업 정규직 대졸 초임을 평균 3646만 원으로 추정한 점을 감안하면 상당수 대기업이 삭감 권고 대상에 들어간다. 경총은 또 올해 기존 임직원 임금은 동결하라고 요청했다.

이날 경총은 국내 대기업 정규직의 대졸 초임이 지나치게 높다는 분석 결과도 내놨다. 경총이 고용노동부가 내놓은 ‘2014년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와 일본 후생노동성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를 비교한 결과 국내 대기업(고용규모 300인 이상) 정규직의 대졸 평균 초임(변동 상여금을 합한 임금총액)은 3만7756달러(약 3976만 원)로 일본 대기업(1000인 이상) 상용직의 대졸 초임 2만7105달러(약 2842만 원)보다 39.3% 높았다.

경제 규모와 비교하면 더 격차가 났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한국 대기업 정규직의 대졸 초임은 135%로, 일본(74.8%)보다 60.2%포인트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총 관계자는 “국내 대기업 정규직 대졸 초임은 2010∼2014년 연평균 2.8%(고정급 기준) 증가해온 반면 일본은 임금 인상을 억제해 산업 경쟁력을 키워왔다”고 지적했다.


○ 대기업 정규직 임금은 중소기업보다 61% 높아

경총은 지난해 대기업 정규직 대졸 평균 초임을 4075만 원으로 추산했다. 고용부 2014년 자료에 2010∼2014년 평균 고정급 인상률을 적용해 추산한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중소기업(300인 미만) 정규직 대졸 초임은 2532만 원 △대기업 기간제 초임은 2450만 원 △중소기업 기간제는 2189만 원 △영세기업(5인 미만) 정규직은 2055만 원 △영세기업 기간제는 1777만 원으로 각각 추산했다. 대기업 정규직 대졸 초임을 100으로 봤을 때 중소기업 정규직은 62.1, 중소기업 기간제는 53.7, 영세기업 정규직은 50.4밖에 되지 않는다.

임금격차가 벌어지면 청년들은 대기업 취업에만 몰두하게 돼 중소기업은 구인난을 겪게 된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 박병원 경총 회장은 이날 열린 제47회 경총 정기총회에서 노동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회장은 “노조에 가입한 10.4%의 근로자뿐 아니라 미취업 젊은이들과 임금 수준이 낮은 대다수 근로자들이 노동시장 개혁의 수혜자가 될 것”이라며 “노동시장 개혁에서 노조의 합의나 동의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경총은 호봉제를 폐지하고 고정급의 비중을 줄여 성과 반영 비율을 높이는 등 연공 중심의 임금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한국형 신임금체계 모델’을 개발해 상반기(1∼6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