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가족] 오른팔·왼팔 혈압 차 크면 뇌졸중·심근경색 위험성↑
- 기자
- 김선영 기자
혈압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건강 지표다. 혈당·콜레스테롤과 함께 혈관 건강을 가늠하는 주요 수치다. 혈압을 재는 목적은 단순히 고혈압 혹은 저혈압 여부를 알아내는 데 그치지 않는다. 혈압의 용도는 다양하다. 양팔 간, 팔과 다리의 혈압 차는 혈관질환을 조기 진단하는 데 유용한 도구다. 혈압을 제대로 알고 관리하는 것이 건강한 생활의 첫걸음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혈압의 용도를 알아봤다.
발목 혈압÷팔 혈압 0.4 미만
말초동맥 막힐 가능성 커
발 궤양 같은 혈관질환 초래
고혈압은 우리나라 30세 이상 인구 중 약 30%가 앓고 있는 국민병이다. 혈압이 높으면 피가 혈관을 지나면서 혈관 내벽에 상처를 낸다. 이 부위에 계속 노폐물이 쌓이면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질환을 유발한다. 혈관은 나이가 들수록 점점 딱딱해져 수축기혈압 상승의 원인이 된다. 중년이 되면 혈압을 정기적으로 재고 관리해야 하는 이유다. 한림대성심병원 순환기내과 박우정 교수는 “혈압은 혈관 건강 상태를 살필 수 있는 주요 지표”라며 “고령자, 흡연자, 운동에 소홀한 사람, 혈관질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혈압 수치를 잘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쪽 팔로 가는 동맥 좁아져 혈압 달라
혈압은 보통 한쪽 팔만 잰다. 그래서 양팔의 혈압 차이는 놓치기 쉽다. 물론 건강한 사람도 양팔 혈압의 수치가 약간씩 차이 날 수 있다. 이 혈압 차는 경우와 정도에 따라 혈관질환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주기적으로 쟀을 때 혈압 차이가 계속 나타난다면 문제가 있다는 경고 신호다.
영국 엑시터대 의대 크리스토퍼 클라크 박사 연구팀은 심장병이 없는 50~70세 3350명을 8년간 조사·분석했다. 그 결과 혈압이 정상이라도 양팔의 수축기혈압 차가 5㎜Hg 이상인 사람은 심장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이 수치가 6배 높았다.
양팔 혈압이 차이 나는 건 한쪽 팔로 가는 혈관(동맥)이 가늘어졌다는 의미다. 동맥경화가 대표적인 예다. 한쪽에 동맥경화가 있으면 혈류량이 줄어 반대쪽보다 혈압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실제로 뇌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뇌졸중 환자에게서 양팔의 혈압 차는 흔하다.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어 양쪽으로 피를 균등하게 보내지 못하는 부정맥, 심장 벽 한쪽이 두꺼워진 심근비대일 때도 혈압 차가 생기기 쉽다. 양팔 혈압 차는 혈관염을 의심하는 증상으로도 사용된다. 분당차병원 신경과 김진권 교수는 “양팔 혈압 차가 클수록 뇌경색과 심근경색,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양팔 간 혈압 차가 10㎜Hg 이상 계속 난다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팔뿐 아니라 팔과 다리의 혈압 차도 중요한 지표다. 동맥경화는 동맥이 흐르는 곳이면 어디든 생길 수 있어서다. 팔과 다리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말초혈관(동맥)질환이 생긴다. 팔보다는 혈액이 더 많이 필요한 다리에 주로 나타난다.
혈관이 완전히 막히면 발등에 있는 혈관의 맥이 잘 잡히지 않고 발이 차가워진다. 아주 짧은 거리도 걸을 수 없을 만큼 통증이 심하다. 발의 상처가 잘 아물지 않고 혈액순환이 안 돼 괴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당뇨병 환자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당뇨병 환자의 25%가 당뇨병성 족부 병증인 당뇨발로 고생한다. 발의 피부나 점막 조직이 헐어 발 궤양으로 악화하는 게 특징이다. 말초혈관질환은 발 궤양을 잘 일으키고 악화시키는 주 원인이다. 심하면 다리 일부를 절단해야 한다.
말초동맥질환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선 팔과 다리 혈압을 재보는 것이 중요하다. 팔과 발목의 혈압을 각각 측정한 뒤 이 중 발목의 수축기혈압을 팔의 수축기혈압으로 나눠 본다. 그 값이 0.9 미만이면 경도, 0.6 미만이면 중등도, 0.4 미만이면 중증으로 구분한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진현 교수는 “당뇨병과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거나 흡연하는 사람은 발목·팔 혈압을 재면 도움이 된다”며 “여기에 초음파나 CT로 혈관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말초혈관질환자 절반만 증상 나타나
다른 말초혈관질환의 증상들이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팔과 다리의 혈압 차는 더욱 중요하다. 말초혈관질환의 대표 증상은 걸으면 다리가 아프고 잠시 쉬면 나아지는 ‘간헐적 파행’이다. 막힌 혈관이 고관절 쪽이면 엉덩이와 넓적다리가, 넓적다리 쪽 혈관이 문제면 종아리가 아프다. 박우정 교수는 “환자의 절반가량만 증상이 나타난다”며 “노인 중에서는 척추관협착증과 동시에 발생해 모르고 있다가 혈관질환을 키우는 사례가 꽤 많다”고 말했다.
혈압은 하루에도 수시로 변한다. 주로 아침에 상승하고 낮 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다 오후 6~8시에 감소하기 시작해 수면 중인 새벽에 최저로 떨어진다. 혈압은 언제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게 마련이다.
그러나 고혈압 환자라면 얘기가 다르다. 날마다 혹은 아침저녁으로 들쑥날쑥하다면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 특히 매일 재는데도 혈압 변동 폭이 15㎜Hg 이상이면 조치가 필요하다. 김진권 교수는 “혈압 변화의 폭이 크다는 건 혈압 조절이 안 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심장병, 뇌졸중 발생 위험이 크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복용 중인 혈압약을 점검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말초동맥 막힐 가능성 커
발 궤양 같은 혈관질환 초래
혈압 측정 제대로 하기
한쪽 팔로 가는 동맥 좁아져 혈압 달라
혈압은 보통 한쪽 팔만 잰다. 그래서 양팔의 혈압 차이는 놓치기 쉽다. 물론 건강한 사람도 양팔 혈압의 수치가 약간씩 차이 날 수 있다. 이 혈압 차는 경우와 정도에 따라 혈관질환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주기적으로 쟀을 때 혈압 차이가 계속 나타난다면 문제가 있다는 경고 신호다.
영국 엑시터대 의대 크리스토퍼 클라크 박사 연구팀은 심장병이 없는 50~70세 3350명을 8년간 조사·분석했다. 그 결과 혈압이 정상이라도 양팔의 수축기혈압 차가 5㎜Hg 이상인 사람은 심장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이 수치가 6배 높았다.
양팔 혈압이 차이 나는 건 한쪽 팔로 가는 혈관(동맥)이 가늘어졌다는 의미다. 동맥경화가 대표적인 예다. 한쪽에 동맥경화가 있으면 혈류량이 줄어 반대쪽보다 혈압이 낮게 측정될 수 있다. 실제로 뇌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뇌졸중 환자에게서 양팔의 혈압 차는 흔하다.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어 양쪽으로 피를 균등하게 보내지 못하는 부정맥, 심장 벽 한쪽이 두꺼워진 심근비대일 때도 혈압 차가 생기기 쉽다. 양팔 혈압 차는 혈관염을 의심하는 증상으로도 사용된다. 분당차병원 신경과 김진권 교수는 “양팔 혈압 차가 클수록 뇌경색과 심근경색,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양팔 간 혈압 차가 10㎜Hg 이상 계속 난다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팔뿐 아니라 팔과 다리의 혈압 차도 중요한 지표다. 동맥경화는 동맥이 흐르는 곳이면 어디든 생길 수 있어서다. 팔과 다리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말초혈관(동맥)질환이 생긴다. 팔보다는 혈액이 더 많이 필요한 다리에 주로 나타난다.
말초동맥질환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선 팔과 다리 혈압을 재보는 것이 중요하다. 팔과 발목의 혈압을 각각 측정한 뒤 이 중 발목의 수축기혈압을 팔의 수축기혈압으로 나눠 본다. 그 값이 0.9 미만이면 경도, 0.6 미만이면 중등도, 0.4 미만이면 중증으로 구분한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진현 교수는 “당뇨병과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거나 흡연하는 사람은 발목·팔 혈압을 재면 도움이 된다”며 “여기에 초음파나 CT로 혈관의 상태를 확인해 보면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말초혈관질환자 절반만 증상 나타나
다른 말초혈관질환의 증상들이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팔과 다리의 혈압 차는 더욱 중요하다. 말초혈관질환의 대표 증상은 걸으면 다리가 아프고 잠시 쉬면 나아지는 ‘간헐적 파행’이다. 막힌 혈관이 고관절 쪽이면 엉덩이와 넓적다리가, 넓적다리 쪽 혈관이 문제면 종아리가 아프다. 박우정 교수는 “환자의 절반가량만 증상이 나타난다”며 “노인 중에서는 척추관협착증과 동시에 발생해 모르고 있다가 혈관질환을 키우는 사례가 꽤 많다”고 말했다.
혈압은 하루에도 수시로 변한다. 주로 아침에 상승하고 낮 동안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다 오후 6~8시에 감소하기 시작해 수면 중인 새벽에 최저로 떨어진다. 혈압은 언제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게 마련이다.
그러나 고혈압 환자라면 얘기가 다르다. 날마다 혹은 아침저녁으로 들쑥날쑥하다면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 특히 매일 재는데도 혈압 변동 폭이 15㎜Hg 이상이면 조치가 필요하다. 김진권 교수는 “혈압 변화의 폭이 크다는 건 혈압 조절이 안 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심장병, 뇌졸중 발생 위험이 크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복용 중인 혈압약을 점검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건강한 가족] 오른팔·왼팔 혈압 차 크면 뇌졸중·심근경색 위험성↑
'건강 에 관한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암치료 방법 될까..."고용량 비타민 C로 암세포 죽인다 (0) | 2017.01.14 |
---|---|
잡스 1억 쓴 유전자검사,이젠 12만원에 내가 걸릴 병 예측 (0) | 2017.01.12 |
아스피린의 항암효과 (0) | 2017.01.09 |
치매에 빨리 걸리는 3가지 (0) | 2017.01.07 |
금연 후 신체에 나타나는 시간대별 효과 (0) | 2017.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