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이승헌]우리는 진짜 미국을 알고 있나
트랜드뉴스 보기
이승헌 워싱턴 특파원
워싱턴 이임 인사차 만난 지인의 추천으로 얼마 전 휴일에 차로 1시간 정도 걸리는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를 다녀왔다.게티즈버그는 한국에서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라는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의 명연설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미국에선 북군이 승기를 잡아 오늘날 미합중국 탄생을 가능케 한 남북전쟁 최대의 격전지로도 유명하다. 링컨의 연설은 그곳에서 산화한 수만 명의 영혼을 달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그만큼 게티즈버그는 형제끼리 피를 뿌려 가며 만들어낸 ‘소중한 미국’을 상징하는 곳이다. 버몬트주에서 왔다는 이라크전 참전용사 피터 설리번 씨는 “이런 미국을 지키는 데 참전했던 건 일생의 영광”이라고 말했다.
게티즈버그 방문은 지난 3년간 워싱턴에서 매달렸던 ‘미국의 본질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정리하는 데 나름대로 도움이 됐다. 그렇게 내린 결론은 “미국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선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어떤 희생도 감수한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들도 그렇다고 하겠지만 미국은 차원이 다르다.
최근 ‘화성-14형’을 비롯해 북한이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을 개발할 때마다 미 언론은 “북한 미사일이 미국 땅에 닿을 수 있다(reach US soil)”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영토(territory)라는 국제법적 개념은 잘 쓰지 않는다. 어렵게 일군 조국의 흙 한 줌도 적에게 내어줄 수 없다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혹자는 이런 기류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때문에 도드라졌다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버락 오바마 행정부도 트럼프보다 표현이 고상했을 뿐 ‘미국을 지킨다’는 목표는 다르지 않았다. 오바마가 추진했다 트럼프가 좌초시킨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의 시장을 확장시키려는 오바마판 ‘미국 우선주의’의 세련된 버전이었다고 나는 본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도 한국, 본질적으로는 주한미군을 지키기 위해 오바마 때 결정됐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는 미국으로 하여금 ‘우리를 지켜야 한다’는 의식을 강하게 자극하고 있다. 물론 트럼프가 문 대통령과 만나 한반도 이슈에서 한국 역할에 무게를 실어준 것은 외교적 성과다. 하지만 북한의 도발 수위가 더 높아지면 트럼프는 문 대통령과의 대화와는 무관하게 ‘미국 지키기 플랜’에 몰두할 것이다. 다른 사람이 백악관 주인이어도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좋든 싫든 북핵에 대처하고 우리를 지키려면 아직은 미국의 협력이 절대적이다. 그걸 이끌어 내려면 겉으로 드러난 외교적 수사 외에 미국인들의 의식 밑바닥에 흐르는 본질까지 들여다보려는 수고와 인내가 필요하다. 과연 우리는 그러한가? 한국 외교의 치열한 각성과 건투를 빌 뿐이다.
이승헌 워싱턴 특파원 ddr@donga.com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NewsStand/3/all/20170712/85310456/1#csidxcce11ab59f7a60eac156f4027d56095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대업,문재인 민정수석 시절이면 잘렸을 사람" (0) | 2017.07.12 |
---|---|
原電 중단 결정,세마디 회의로 끝냈다 (0) | 2017.07.12 |
[사설]"한반도문제 해결할 힘 없다"...文의 '뼈저린 ' 국제현실 인식 (0) | 2017.07.12 |
[이정재의 시시각각] 원전 공론조사 하자,제대로 (0) | 2017.07.07 |
"한반도 전쟁 시 첫날 北 자주포.방사포 공격에 최대 6만명 사망"...NYT, '한반도 전쟁 가상 시나리오 (0) |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