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항모' 연합훈련, 한국이 거부
미, 3개국 훈련 제안했지만 무산
정부 소식통 “대중국 3불 조치 감안”
한·미, 미·일 각각 훈련하기로
트럼프 "인도·태평양" 다시 강조
문 대통령은 오늘 시진핑과 회담
정부 소식통은 그러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문제를 풀고 한·중 정상회담을 하기로 한 과정에서 중국과 합의한 ‘한·미·일 안보협력이 군사동맹으로 발전하지 않는다’는 등의 ‘3불(不) 원칙’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국방 당국은 “한·미·일 연합훈련 제의를 자주 받는데 필요한 것 아니면 안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달 24~25일 한국 해군은 미·일 해군과 같이 북한 탄도미사일을 탐지·추적하는 미사일 경보 훈련을 실시했었다. 북 미사일에 대한 정확한 추적과 분석을 위한 것이었다. 한·미·일은 지난해 10월에도 제주 동쪽 공해상에서 수색·구조 훈련과 해양차단작전 훈련을 함께했다. 해양차단은 민간 선박을 검문하는 작전으로 당시 가상 북한 선박을 대상으로 한 훈련이었다. 이와 관련해 당국자는 “이들 훈련과 이번에 항모를 동원한 훈련과는 성격이 좀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번 훈련에 미 해군에선 로널드 레이건함(CVN 76), 시어도어 루스벨트함(CVN 71), 니미츠함(CVN 68) 등 항모 3척을 비롯해 이지스 순양·구축함 11척 등이 참가하고 한국 해군에선 이지스 구축함 2척을 포함한 7척의 전투함이 나선다. 한·미·일 훈련 무산으로 일본 함정들은 우리 작전구역(KTO)에 진입하기 전까지만 미 항모 전단과 동행하고 KTO 내에선 한·미 함정들이 훈련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도 “이 지역(인도·태평양)의 미래와 국민들이 한 독재자의 폭력적인 정복과 핵 위협이란 왜곡된 환상에 인질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인도·태평양 기조를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에선 하지만 ‘한·미 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번영을 위한 핵심축’이라는 지난 8일 한·미 공동 언론발표문 문안을 둘러싼 혼선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이철재 기자,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ngang.co.kr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文 베트남 차에 왜 '한국 번호판'이?영상에 잡힌 文 '방탄차' (0) | 2017.11.13 |
---|---|
김관진,감방에 보내야 했나 (0) | 2017.11.13 |
테니스 정현,생애 처음 투어 대회 결승 진출 (0) | 2017.11.11 |
文-트럼프 회담 끝나자 마자,WSJ "文대통령은 못 믿을 친구" (0) | 2017.11.09 |
윤석열의 눈 없는 칼 (0) | 201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