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에 관한 내용

전신 마취 경험, 나이 들면 악영향?...치매 위험 29% 커진다


전신 마취 경험, 나이 들면 악영향?…치매 위험 29% 커진다

                                        

 

수술 전 마취 시술 장면. [중앙포토]

전신 마취를 경험해본 노인은 치매에 걸릴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상당히 지났더라도 마취제의 영향이 몸에 남아 있다는 의미다. 마취에 사용한 약의 가짓수와 마취 시간도 치매 발생 위험에 영향을 미쳤다.
 
김도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ㆍ김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ㆍ김태미 한림대 생사학연구소 교수ㆍ명우재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12일 이러한 내용의 논문을 공개했다. 건강보험공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50세 이상 남녀 21만9423명을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은 분석 대상을 전신 마취 경험이 있는 그룹(4만4954명)과 그렇지 않은 그룹(17만4469명)으로 나눴다. 그리고 이들이 2002~2013년, 총 12년에 걸쳐 치매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그랬더니 12년 새 양쪽 그룹에서 새로 치매 진단을 받은 환자는 8890명이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76.5%로 가장 많았다.

전신 마취 경험한 노인은 치매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전신 마취 여부와 치매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 연구팀이 나이ㆍ성별ㆍ동반 질환 등 각종 변수를 보정한 결과 전신 마취를 받은 적 있는 그룹은 치매 발생 위험이 28.5% 높았다. 마취제 수와 마취 시간도 마찬가지였다. 정맥 마취제를 여러 개 썼을 때는 한 가지만 사용한 경우보다 49%가량 위험이 커졌다. 또한 전신 마취 시간이 1시간 늘어날 때마다 치매 발생 위험도 6%씩 늘었다. 마취를 오래 할수록 치매 가능성이 점점 커진다는 의미다.

 
김도관 교수는 "치매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늘고 있지만 아직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만큼 각종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수술을 위한 전신 마취가 위험하니 무조건 피해야 한다는 건 아니다. 전신 마취 전후로 보다 신중하고 세심한 인지 기능 평가·관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등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알츠하이머병 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