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결국 北 핵보유국 인정할게 확실"
- 브루킹스硏·전략硏 서울 콘퍼런스
"트럼프, 김정은과 2차 회담서 한미연합훈련 중단 선언같은 동맹훼손 조치 또 발표 가능성"
조너선 폴락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16일 "미국은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북한의 핵과 운반 수단의 보유를 사실상 인정할 것이 확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일보가 이날 미국의 대표적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과 공동으로 밀레니엄 서울힐튼호텔에서 주최한 국제 콘퍼런스에서 한·미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남북 관계 개선을 중시하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 편승한 북한이 미·북 담판을 통해 핵보유국 지위를 굳힐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미·북이 이번 주 예정된 고위급 회담과 후속 2차 정상회담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가 아닌 핵동결·핵군축 합의로 미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1/17/2019011700479_0.jpg)
이상희 한국국가전략연구원장은 북한이 주장하는 '조선반도 비핵화'와 관련, "과거 핵은 절대 포기하지 못한다는 의미"라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한국과 미국·북한이 동상이몽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도 "작년 남북 대화, 미·북 대화를 보면 북한의 접근법은 계속 핵을 보유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참석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차 미·북 정상회담 때 한·미 연합 훈련 중단을 일방 선언한 것처럼 2차 회담에서도 한·미 동맹을 훼손하는 조치를 한국과 조율 없이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생각하지만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를 일방적으로 철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의 요구 중 제재 완화는 유엔 결의나 미국 국내법과 연동돼 건드리기가 쉽지 않지만, 주한 미군의 규모·역할 변경이나 전략 자산의 한반도 전개 문제는 얼마든지 북에 '선물'로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에번스 리비어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직접 대화를 통해 북한 지도자가 비핵화에 나서도록 한다는 개념의 플랜A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17/2019011700479.html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혜원 부친, 독립유공자 심사 6번탈락뒤 文정부서 됐다 (0) | 2019.01.18 |
---|---|
'손혜원 타운'에 들어갈 나랏돈 1100억 (0) | 2019.01.18 |
"맨손으로 범인 말렸는데, 경찰은 커터칼에 놀라 뒷걸음질 치더라"암사역의 '그 남자" (0) | 2019.01.16 |
조카에 1억씩 주며 "건물사라"...孫측 1년반 동안 집중매입 (0) | 2019.01.16 |
송영길의 탈원전 반격 2탄..." 산 깍아 태양광 설치 한계" (0) | 2019.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