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의 양식이 되는 글

노인의 지혜[카보이메일,펌]

 


성종임금

노인의 지혜 

성종 임금 때,

어떤 사람이 일찍이 딸 하나를 낳아

 길러서 시집보낸 후 늦게

아들을 하나 보게 되었다.
이 사람이 나이가 많아
죽을 때가 되었는데,

 아들은 아직까지 강보에 싸여 있는 어린 아이였다.

이 사람이 죽으면서 유언을 하여

재산을 시집 간 딸에게
모두 물려주고,

 어린 아들에게는 자기 자신의 얼굴 모습이 그려진

 족자 1개만 주었다.

딸은 친정 재산을 모두 물려 받았으니

 살림은 넉넉해 졌지만,
살 길이 막막한 친정의 어린 동생이 가엾어서,
동생을 데리고 와서 자기 자식 처럼 돌 보아 길렀다.

노인의 아들은 점차 나이가 들어 가자

옛날 부친이 돌아 가실 때

모든 재산을 누나에게 다 주고

자기의 몫은 족자 하나뿐이었다는 사실을

의아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결국 족자를 들고 관청에 나아가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른다.

"누나가 저를 자식처럼 잘 길러주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친이 무슨 뜻으로

재산을 누나에게 모두 주고,
저에게는 이 족자 하나만 물려 주었는지

그 참 뜻이 궁금 합니다.
결코 누나를 원망 해서가 아니라
이 족자의 뜻을 알고 싶을 따름 입니다."

이렇게 해 청원이 접수 되었는데,

관장이 도저히
밝힐 수가 없어서 성종 임금에게 보고하고

 그 족자를 바쳤다.
성종 임금이 족자를 펴보니 족자에는 노인이
한 사람 그려져 있을 뿐이었다.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어서 고민하다가

족자를 벽에 걸어 놓고

멀리 앉아 쳐다보니,

그림 속의 노인이 손가락으로
아래 부분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었다.

이것을 본 임금은
문득 생각이 떠올라,
사람을 시켜서 그 족자 끝의 축을 쪼개 보도록 했다.
그랬더니 그 속에 종이 쪽지가 들어 있었다.
"내가 재산을 딸에게 모두 다 준 것은,

 딸에게 어린 동생을 잘 돌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가 자라고
나면 내 재산을 균등하게 나누도록 하라."
이러한 내용이었다.

 그래서 성종 임금은 문서를 작성하여
재산을 남매에게 균등하게 분할해 주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시 재산을 어린 아들에게 물려 주었다면,
누나는 재산 때문에 어린 동생을 돌보지 않고

 해쳤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따라서 지금 처럼 동생을 잘 거두어

기르지 않았을 것이다.
노인의 지혜가 놀랍다."
이처럼 노인의 경우와 같이 지혜는

상대방에 대한 깊은 배려와
사랑에서 나오는 것은 아닐까?
-한국인 이야기 4  에서, 

 

♤ 노인의 지혜 ♤ ♡
등이 몹 굽은 한 노인이
과일 나무의 묘목을 심고 있었습니다.
지나가던 나그네가 그 모습을 보고
노인에게 묻습니다.
“노인께서는 그 나무의 열매가 언제쯤 열릴 것 같습니까?”
“한 30년쯤 지나면 열리겠지.”
나그네는 웃으면서 다시 말했습니다.
“노인께서는 저 나무의 열매를 맛보시려면
오래오래 사셔야겠습니다.”
노인은 이마의 땀을 닦으면서 말했습니다.
“내가 어렸을 때는 우리 과수원에 과일이 많이 열렸다네,
그런데 그 나무들은 내가 태어나기 수십 년 전에
우리 할아버지께서 심어 놓으신 것이었지.
그리고 저기 보이는 제법 큰 나무들은 내가 어렸을 때
아버지와 함께 심은 나무들일세.
 나의 아버지는 생전에 저 나무들의 열매를
맛보신 적이 없었지.
이제 내가 심는 이 나무의 열매는
내 손주들이 맛볼 수 있지 않겠나?”
- <더불어 사는 생활의 지혜>  

 

고려장 풍습이 있던 고구려 때 박정승은
노모를 지게에 지고 산으로 올라 갔습니다.

그가 눈물로 절을 올리자 노모는
'네가 길을 잃을까봐 나뭇가지를 꺾어
표시를 해두었다' 고 말합니다.

박정승은 이런 상황에서도 자신을 생각하는
노모를 차마 버리지 못하고

 몰래 국법을 어기고
노모를 모셔와 봉양을 합니다.


 

 

그 무렵 당나라 사신이 똑같이 생긴 말 두 마리를 끌고 와 어느 쪽이 어미이고 어느 쪽이 새끼인지를 알아내라는 문제를 냅니다. 못 맞히면 조공을 올려 받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문제로 고민하는 박정승에게 노모가 해결책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말을 굶긴 다음 여물을 주렴, 먼저 먹는 놈이 새끼란다."

이러한 노모의 현명함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왕을 감동시켜 이후 고려장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집니다.
그리스의 격언에
'집안에 노인이 없거든 빌리라' 는 말이 있습니다.
삶의 경륜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잘 보여주는 말입니다.
가정과 마찬가지로 국가나
사회에도 지혜로운 노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노인이 되면 기억력도 떨어지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고,
자신의 경험에 집착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그 대신 나이는 기억력을 빼앗은 자리에

 통찰력을 놓고 갑니다. 노인의 지혜와 경험을 활용하는 가정과 사회, 그리고 국가는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정순옥 / 새벽편지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