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면서-받은 메일과 신문 스크랩

후쿠시마 앞바다 방사능 오염 여전...세슘,원전 사고 전보다 461 배 검출

후쿠시마 앞바다 방사능 오염 여전…세슘, 원전 사고 전보다 461배 검출

PDF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했던 일본 후쿠시마 원전 앞바다 퇴적토에서 높은 수치의 방사능이 여전히 검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0㎞ 떨어진 해역까지 위험 수위

국제환경단체인 그린피스 일본사무소와 한국사무소는 지난 2월 21일부터 3월 11일 후쿠시마 인근 하천과 해저 퇴적토의 방사능 오염도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2㎞ 떨어진 해역의 퇴적토 시료에서 방사성 물질인 세슘-137의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퇴적토 ㎏당 최대 120베크렐(Bq·방사능 단위)이었다. 이는 원전 사고 이전에 측정된 0.26베크렐의 461배다. 또 원전에서 남쪽으로 60여㎞ 떨어진 해저 퇴적토에서도 최대 120베크렐까지 측정되는 등 광범위한 해역이 오염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南相馬)시를 지나는 나이다 강바닥에서 채취한 퇴적토 시료에서는 전체 세슘(세슘-134와 세슘-137) 방사능이 ㎏당 최대 2만9800베크렐까지 검출됐다. 시료를 채취한 지점은 후쿠시마 원전에서 북동쪽으로 30여㎞ 떨어져 있다. 이곳은 거주 제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았다.



이 밖에 후쿠시마 원전에서 북동쪽의 25㎞ 정도 떨어진 오이타 강바닥에서도 ㎏당 최대 2만3800베크렐의 방사능 세슘이 검출됐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북쪽으로 90㎞ 이상 떨어져 있는 미야기현의 아부쿠마 하구에서는 퇴적토 ㎏당 최대 6500베크렐의 방사능이 측정됐다.

그린피스 일본사무소의 활동가(에너지 캠페이너) 가시와기 아이는 “이번 하천 조사 지점은 일본 정부가 사람들이 들어가 살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하다고 말한 지역”이라며 “후쿠시마 재난으로 야기된 환경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지 분명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내년 3월 후쿠시마 원전 피해 지역 가운데 일부에 대해 주민대피 명령을 해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린피스 일본사무소의 켄드라 울리히 선임 글로벌 에너지 캠페이너도 “산림과 하천의 방사능 오염과 더불어 여전히 원전 부지에 남아 있는 막대한 규모의 방사능 오염물질은 후쿠시마 연안 지역 주민과 태평양의 가장 큰 위협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후쿠시마 앞바다 방사능 오염 여전…세슘, 원전 사고 전보다 461배 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