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광장/한규섭]경제는 위기인가 아닌가?
한규섭 객원논설위원·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입력 2018-11-13 03:00수정 2018-11-13 03:00
트랜드뉴스 보기
![](http://dimg.donga.com/wps/NEWS/IMAGE/2018/11/13/92845143.2.jpg)
문맥상으론 경제가 위기 상황이 아니라면 ‘정치적 의사 결정’이 필요할 이유 자체가 없지만 발언의 진의가 무엇인지, 경제가 위기라는 것인지, 아니라는 것인지는 김 부총리 자신만이 알 것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경제가 위기인지 합의조차 없는 한국 사회의 현주소다. 그 자체가 위기다.
우선 이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정치권의 인식이 첨예하게 갈린다. 여권에서는 ‘언제 위기가 아니었던 적이 있었느냐’고 반문한다. 보수정당에서 선거 때마다 ‘경제위기론’을 확산시켜 보수를 선택해 달라는 논리를 펴 온 것이 ‘위기불감증’마저 불러온 것일 수 있다. 여권 내에는 노무현 대통령 시절 실제보다 부풀려진 ‘경제위기설’이 기업인 출신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을 허용한 원인이었다는 인식이 팽배한 듯하다.
사실 미국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없지 않다. 현직 대통령이 재임에 실패한 흔치 않은 사례인 1992년 대선을 예로 들 수 있다. 여러 정치·경제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선거 당시 미국 경제는 이미 회복기에 들어섰지만 언론의 지속적인 ‘경제위기설’ 설파로 결국 조지 부시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유권자들도 진영에 따라 현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른 듯하다. 여론조사기관인 엠브레인이 10월 28, 29일 양일간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결과를 살펴보면 ‘보수’ 유권자 중 34.1%만이 문재인 정부의 전반적인 경제 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진보’ 유권자의 66.8%는 긍정 평가했다. ‘중도’ 유권자는 거의 반반(45.4% 대 52.0%)으로 갈렸다. 해법은 물론이고 아예 상황 인식 자체가 극명히 다른 것이다.
국가적 문제는 언제든 생길 수 있고 대부분 해답이 존재한다. 그러나 문제가 있는지 자체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없다면 이는 매우 암울한 징조이고 그 자체가 큰 위기 상황일 것이다. 사실 경제는 객관적 지표가 풍부한 영역이다. 경제성장률도 있고 실업률도 있다. 이런 영역에서도 위기인지 아닌지조차 합의가 안 된다면 대한민국 사회는 이미 기본적인 사실에 대한 인식에서마저 합의가 불가능할 정도로 정치적으로 양극단화돼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경제는 위기 상황인가 아닌가? 이제 정부나 정치권뿐 아니라 유권자 개개인이 이 질문에 대한 냉철한 판단을 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누구도 속 시원히 이 질문에 답을 해 줄 수 없는 한국 사회의 양극단화된 현주소 때문이다.
한규섭 객원논설위원·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호한 분식 잣대로 미래 먹거리 바이오산업 싹 죽일 건가 (0) | 2018.11.15 |
---|---|
친트럼프 매체도 "김정은에 속았다"...美야당 "北과 대화 말라" (0) | 2018.11.14 |
이언주 "운동권정권, 美에 겁없이 北제재완화 설쳐대" (0) | 2018.11.12 |
문성현 "임금 가지고는 다 했다, 민노총 이젠 바뀔 때" (0) | 2018.11.09 |
與 "BTS 평양공연 추진"에 팬들 발끈 (0) | 2018.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