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희 칼럼] 3강 대사까지 캠프 인사로
전체적인 안보라인 너무 취약
역동적인 4강 외교 요구되는데
언어 구사, 두터운 인맥 없는
캠프 출신으로 4강 대사 지명
앞으로 북·미 말폭탄 공방에
한국이 설 자리 있을지 의문
박근혜 전 대통령은 수첩 인사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미 캠프 인사로 비판을 받아왔다. 그래도 그는 그런 비판에 아랑곳하지 않고 중차대한 3강 대사에 캠프 인사들을 임명했다. 캠프 인사라도 필요한 조건을 갖췄다면 문제될 것이 없다. 그러나 주영대사 경력이 외교 경험의 전부인 신사적인 경제학자에게 주미대사는 맞지 않다. 예를 들면 주미대사에는 대통령 외교특보인 문정인 교수 같은 정력적이고 역동적인 인물이 적격이다. 본인은 지금의 자리를 선호할지 몰라도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삼고초려를 해서라도 그에게 주미대사 자리를 맡겼어야 한다. 이태식 전 주미대사도 영어 구사 능력과 추진력이 발군이다. 그가 두 번 같은 자리에 가지 않겠다고 사양했어도 그를 설득했어야 한다. 속사정은 모르지만 이태식 전 주미대사가 하마평에 올랐다가 없던 일이 되어버린 것은 아쉽고 수상쩍다.
같은 질문은 주일대사와 주중대사에도 해당된다. 이수훈 교수는 한반도·북한 문제의 권위자다. 그러나 그에게 일본은 생소하다. 특히 일본이라는 나라는 인맥을 중시하는 나라다. 주일대사는 위안부 문제를 봉합하면서 한·미·일 안보 공조라는 건물을 세워야 하는 사람이다. 왜 문재인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유흥수 전 의원을 전격 발탁한 그런 과감한 인사를 못하는가. 왜 캠프 밖을 못 보는가. 노영민 주중대사 내정자도 마찬가지다. 사드 문제로 최악의 상황에 빠진 한·중 관계의 제1선을 보통밖에 안 되는(mediocre) 인사에게 맡기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북한 핵·미사일 도발 해결에 중국의 역할이 필요불가결함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만약 문재인 대통령이 노영민 내정자가 중국 지도부 설득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국민들의 생각과는 거리가 멀다.
전체적인 안보라인이 너무 취약하다. 안보실장에는 경제외교의 경험밖에 없는 사람이 앉아 있다. 외교부 장관은 국내 사정은 말할 것도 없고 북한 문제와는 동떨어진 유엔 산하기구에서 행정 경험만 쌓은 사람이다. 청와대와 본부의 안보라인이 취약한 부분을 4강 외교의 일선 사령관들이 보완해야 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에 대한 보수의 색깔이 분명한 빅터 차 조지타운대학 교수를 주한대사로 지명한 것이 사실이라면 문재인 대통령의 특색 없고 맹물 같은 3강 대사 인사와는 너무 대조적이다. 빅터 차 교수는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한국 담당으로 6자회담 차석대표까지 지낸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북한 전문가다. 트럼프와 김정은의 말폭탄 공방에 한국은 설 자리가 없다. 여론은 전문성 떨어지는 3강 대사들의 활약상을 지켜볼 것이다.
[출처: 중앙일보] [김영희 칼럼] 3강 대사까지 캠프 인사로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술핵이 김정은보다 나쁜가 (0) | 2017.09.02 |
---|---|
英 다이애나 20주기...사진으로 돌아보는 '비운의 왕세자빈'[서소문 사진관] (0) | 2017.09.01 |
"바지 내릴 땐 적당히...더듬지 마세요"물리치료실에 붙은 안내문 (0) | 2017.08.31 |
법정 나온 고영주 "문재인은 공산주의자 맞다...검찰 기소 이해 못해 (0) | 2017.08.31 |
국내 집 보유자 1위는 1659채 가진 40대 남성...2살 영아 집주인도 있어 (0) | 2017.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