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

'더 이상 못본체 하지 않겠다'며 유관순 '추모'기사 실은 NYT

‘더 이상 못본체 하지 않겠다’며 유관순 ‘추모’기사 실은 NYT

                                        


 
29(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일제의 식민통치에 저항한 독립운동가 유관순이라는 제목으로 유관순(1902~1920) 열사를 추모하는 기사를 실었다. 그러면서 매체는 1851년 창사 이래 뉴욕타임스의 부고기사는 주로 백인남성들에 관한 것이었다이제부터는 주목할 만한 여성들을 추가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사진 NYT 홈페이지 화면 캡처]

 
매체는 1919년 봄, 한국의 독립운동이 일어났을 때 16세 소녀 유관순은 민족의 자유를 갈망하는 상징이 됐다고 전했다이어 유관순이 이화학당에서 시위에 참여해 만세를 외쳤고 최남선과 민족대표 33인에 의해 작성된 독립선언문을 고향 충남 천안에 반입해 만세운동을 이끌었다고 뉴욕타임스는 소개했다.
 
또한 유관순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돼 고문을 당하면서도 수감자들의 석방과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용기를 지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매체는 내 손톱이 빠져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다는 발언도 소개했다. 1920928일 유관순 열사가 순국 직전에 일본은 패망할 것이라는 말을 남긴 사실도 덧붙였다.
 

또한 매체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2015년 이화여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유관순 열사를 언급한 사실을 소개했다. 당시 반 전 총장은 폭력이 한 사람을 죽일 수는 있어도 그들의 기억과 이상을 죽일 수는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면서 유관순 열사는 옥에서 가혹한 고문을 받고 그 상처로 목숨을 잃었다. 그럼에도 자신의 신념을 절대 포기하지 않았고, 오늘날까지 열사의 이름은 잊히지않고 있다고 한 발언을 소개하며 반 전 총장이 그를 잔 다르크에 비유했다고 전했다.
 
매체는 “‘잊혀서는 안 되는여성들을 전 세계에서 찾아 뒤늦게 그 삶을 조명한다"면서 1주일에 한 사람씩 소개하고 있다.  더는 간과하지 않겠다(Overlooked No More)가 이 시리즈의 제목이다. 2주 전에는 '제인 에어'의 소설가 샬롯 브론테(1816~1855) 기사가 나갔으며 그 전에는 비극적 미국 시인 실비아 플라쓰(1932~1963)를 실었다.
 
유관순의 추모 기사는 NYT 뉴스 데스크 에디터인 인영 강(INYOUNGKANG)이 썼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더 이상 못본체 하지 않겠다유관순 추모기사 실은 NY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