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
"운조루"라는 1776년 조선 영조때 삼수부사를 지내신 유 이주님께서 지으신 집으로서,
용인 민속촌에 있는 양반집에 비해선 다소 검소한 면을 느낄 수 있었읍니다.
남한 3대 길지에 지은 집이라 하는데,
그 규모 면에서 너무나 소탈하면서도 사랑채나 본채가 요즘의 우리 시골 가정집처럼 작은 규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읍니다.
거느리는 하인 때문에 저택입구 양 옆으로 "서행랑"과 "동행랑"을 두어 하인들 처소로 사용한것외엔
모든것이 실용적으로 작게 지어 뭇사람의 시선에 거슬리지 않게보임은 비단
나하나의 생각이 아닐것입니다.
그러나 이 수수한 건물 양식보다,
한결 돋보이는 것은 곳간에 놓아둔 크나큰 나무를 잘라내고 속을 파내어 두가마니반의
쌀이 들어가도록 만든 쌀통입니다.
이통의 맨아래쪽에 손만 들어갈 수있는 구멍을 만들어 놓고
"아무나 퍼가시요"라 하는 뜻의 "타인 능해"란 표찰을 붙여 놓았읍니다.
이걸 처음 시도 했을 때 요즘의 세태처럼 하루 밤낮에 한 두사람이
죄다 퍼갔을 수 도 있었겠지 하는 생각도 해 보았읍니다.
각종 민난이나 동학란,왜란,6.25사변등 어려운 시절 굶주리는 동네 사람들에게
허기를 달랠 쌀을 가져 가도록하여 이웃을 배려하는 마음에 자연히 머리 조아리고 왔읍니다.
이웃이야 어떻게 되든
나만 잘먹고 잘살아 비둥비둥 살찌지 않고,
이웃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때문에 각종 난리에도 이 저택이 불타지 않고
보존되지 않었나하고 생각해 보았읍니다.
저택 앞의 작은 연못에도 소나무 한그루만 있을뿐 정자나 의자 같은
쉼터가 없는것 또한 마음에 와 닿는 부분이었읍니다.
거실 마루,우측엔 오래된 동양화두어폭이 있음
거실 마루
타인 능해:요즘 말로는 마음대로 퍼 가세요
앞뜰에 있는 연못
소나무 뒤편에 있는꽃이 꽃무릇이라고 하는데 사찰주변에 많이 심어져 있읍니다.
이유인즉 이꽃을 찢이겨서 단청할때 섞으면 변색도 안되고 방습,방충도 되기에
사찰주변에 많이 심었답니다.
'自作-살아온 이야기,해야 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젠 맘껏 바람 피구려~~ (0) | 2013.10.19 |
---|---|
거래장 관리[제약회사영업사원] (0) | 2013.10.16 |
암울한 나라의 앞날 (0) | 2013.10.03 |
오늘이 국경일 맞우? (0) | 2013.10.03 |
검찰은 자기 칼부터 깨끗해야...를 읽고 (0) | 2013.09.18 |